아직 아침은 아니고 다시 자기에는 늦은 시간.
알루미늄 이중창에 갖힌 집 속에선 새벽 공기같은 걸 맡아볼 순 없지만
그래도 어쩐지 냄새가 난다. 새벽 냄새-
잠들기 전인 어제는 to do list에 적어놓았던 여섯 개의 일 중에 다섯 개를 해 냈고 조금 지루하고 짜증나는 그치만 또 좋은 사람들도 있어서 어쩔 수 없었던 한 회의에도 두 시간이나 있어야 했고 또 다른 짤막한 회의는 인도 음식점에서 맛있는 음식과 함께 치뤄졌으며 집에 오는 길 내내 길모어 걸스를 볼 생각에 부풀어있었지만 동행이 있거나 동행이 사라진 순간부터 피곤한 전화가 왔으며 인도 음식을 먹어서 배가 고프지 않다고 생각했으면서도 당고개에 내려 오뎅을 사 먹고 집에 와서 뻔뻔하게 삼치 구이와 밥을 먹기도 한
약간 피곤했던 날.
긴장했는지 지나치게 일찍 일어나 버렸고
웁스,
밥솥은 예약 시간에 맞춰 밥을 하고 있네. 푸슁하고 김 빠지는 소리가 들린다.
매일 조금씩 뭔가를 하는 사람이 되려고 했는데
매일 조금씩 블로그에 뭔가를 쓰는 사람이 되기도 어렵다.
머리속에 있는 얘기들을 좀 꺼내 놔야 새 것이 들어 갈 거 같은데.
작년(!!!)보다 조금 더 조급해진 거 같기도 하고 냉정해진거 같기도 하고, 이해의 폭이나 속도가 너무 좁고 느려져서 대체로 모든 일이 지나고 난 후, 혹은 대화가 끝난 한참 후에 잘못들을 깨닫곤 한다. 다른 사람들을 푸쉬하거나 내가 원하는 대로 대화를 정리하려고 하거나 하는 일들이 얼마나 짜증나는 일인지 오늘 짜증나는 회의에서 좀 배웠는데 그 순간에 있었던 분노들이 지나고 나니 다 내게 화살이 돌아왔다. 난 정말 잘 그러는데 말야. 다른 것에 대한 이해도가 점점 떨어지고 있다. 좋지 않은 현상. 영화와 드라마의 세계로 다시 돌아가야 할 거 같다. 이틀 집중해서 길모어 걸스를 보니까 사람들의 관계란 어찌나 짜증나면서도 아름다운지.
밥 냄새가 마구 퍼지고 있다. 프흡-
난 이 방이 좋다. 이 집에서 이 방을 내 방으로 쓴 적은 없었다. 이 집에 이사왔을 때 나는 학교 앞에서 자취를 하고 있었고 휴학을 하면서 집에 왔을 때는 나에게 제일 좋은 방을 내주었었다. 1년 반쯤 지나고 나는 다시 자취생활을 했고, 2년 10개월이 지나고 이 집에 다시 돌아왔을 땐 지금 이 방이 내 차지가 됐다. 사실 여기서 오래 살고 싶었다. 그래서 난 내가 제일 좋아하는 색으로 페인트칠을 했고 내가 좋아하는 책상과 책장을 놓았고, 벽에 사진들을 마구 붙여놓고 좋아하는 달력 그림도 걸어놓고 싶었다. 내 씨디들을 새로 칠한 나무 박스에 넣고 잠을 잘 때 종종 방에 울리는 음악을 듣는 게 좋았고 커다랗고 불투명한 유리도 좋았다.
이제 보름 뒤면 난 다시 이 집을 떠난다. 정말 유목민처럼, 난 아직 풀지도 못한 이삿짐을 다시 싸야 한다. 물론 쫓겨나는 것도 아니고, 또다른 좋은 시작이 될테지만- 이상하게 슬프다. 같이 페인트칠을 도왔던 부모와 애인이 이 하늘색이 방을 정신병동처럼 보이게 한다고 말했어도 난 이 색깔이 좋았는데. 이사에 단련된 나에게도 공간에 대한 애착이 있었나보다.
2월에 있을 몇 개의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
그 생각을 하면 2월이 한 달 쯤 더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본다. 아르바이트의 납품이 정말 1월 말에 끝난다면, 3월에 다른 '정기적'인 일들이 시작되기 전에 2월은 참 아름다울 거다. 게다가 세뱃돈을 받을 수 있는 설날도 있잖아! 난 아직도(올해는 장담할 순 없지만) 세뱃돈을 받는다. 그래서 아직 설날이 재미있다. 후후
여하튼 2월이 좀더 재미있고 신났으면 좋겠다. fabulous February!!(에이프릴 어법ㅎㅎ)
일단 이른 아침부터 먹고-
열린 채널에 불선정된 슬픔 때문인지
아니면 오랜만에 마신 2/3병의 소주 때문인지
여하튼 종일 자버렸다.
잠깐 일어나 일 좀 하는 거 같더니 어느새 잠들어 일어나지 못하고
열심히 일하고 있던 윤옥씨마저 잠의 세계로 유혹..
회의도 못 갔고 회의에 보내줘야 할 내용도 못 보내줬고
크흑
이제 조금 잠이 깼다.
한참을 자고 나니 두통도 많이 사라졌다.
자자-
정신차리고 살아야지
-우체국을 찾아 가는 길,
삼거리에서 어디지 하고 돌아보는 그 순간
바로 옆에 지나던 아줌마가 그 옆에 지나는 다른 아줌마에게
'우체국이 어디에요?' 라고 묻다.
우리는 그저 졸졸 따라가기만 하면 됐다규!
-커피 마시는 중 ** 씨 얘기를 잠깐 했는데 바로 그 직후 그에게 전화가 오다.
-지하철을 탔는데 오랜만에 책도 없고 음악도 없고 전화기도 꺼져서 계속 사람 구경을 했다.
예전에 사람들이 어디서 내리는지 잘 맞춰서 친구들이 신기있다고 했었는데
여전한가 싶어 실험.
서 있는 내 앞에 앉은 7명이 내릴 만한 정류장을 하나씩 선정해두었다.
세상에!
5명을 정확히 맞추고 말았다!
오늘의 신기한 일.ㅋㅋㅋ
그래서 집에 가면 기록을 해 봐야지 했지만,
할 일은 산더미고 딴짓할 거리도 많다.
일단 벼르던 손난로를 샀고
배너도 하나 만들었고
내 인생에 매우 중요한 쩜이 될 만한 일도 있었고
그 쩜에 태클이 걸릴 만한 일도 있었고
촬영을 나갔다가 가슴이 뭉클해지는 경험도 얻었으며
복리이자로 꼬시는 카드회사 전화부터 반가운 허지부장님 전화까지 오늘 하루 몇십통의 전화가 오고 가기도 했다.
이들에 대해 자세히 적고 싶지만
지금 나는 기획서 하나를 공들여 작성 중이다.
고로 스킨을 바꾸는 등의 뻘짓을 하는 이유도 바로 그것...
내가 이걸 왜 할까, 왜 이 사람들이 주인공이지?, 나라면 돈을 줄까?, 진짜 내가 이런 거창한 얘기가 하고 싶은 걸까...
나를 설득하기도 힘들다.
분명 하고 싶고 나를 울리는 부분도 있는데 그게 뭔지 찾기가 힘들다.
어디선가 뻥-하고 뚫리면 변기 물 내려가듯 슉슉 할 것도 같은데
계속 한글 파일을 외면하고 딴짓에 열중하고 있다.
들어갔던 블로그 또 들어가기 신공까지 발휘..
소중하기 때문일까 하기 싫기 때문일까
흑흑
손난로는 따뜻한데 따뜻함이 오래가지 않는구나
아니면 내 마음이 추운 것이냐
배고프다
김치뽁음밥 먹고 싶네
집을 보러 다니고 있다.
비슷비슷한 가격에 집들을 보러다니면 다른 지역에 가더라도 비슷비슷한 모양의 골목과 집들을 만나게 된다.
이사하는 모습을 찍어서 다큐로 만들겠다는 야심찬 계획은 피곤함과 뻘쭘함을 핑계로 사라졌다.
해야할 일들이 많은데 잠은 안 오고 일도 안 된다.
롯데 언니들의 이야기를 어떻게 잘 기획서에 넣을지 고민된다.
지금 큰 틀에서는 일단 롯데 언니들을 주인공으로 해서 금옥쌤의 연대장면을 다 촬영하고 서강대 분회 등 여성 노동자들, 그 중에서도 나이가 많은 여성 노동자들의 모습을 담으려는 계획이 있다.
그 안에서는 여성노동에 대한 평가절하-가사노동과 흡사한 형태의 노동일수록-와 함께 그것들을 이겨내는 그녀들의 모습이 함께 담길 것이다.
관객들이 그녀들의 모습을 보면서 자기의 모습을 보면 좋겠다. 엄마나 딸이 아니라 그냥 나 자신.
출근 사무실의 하루
롯데 집회에서의 모습
예쁜 옷을 입는 금옥쌤에 대한 반응
위원장 허지부.
실패의 경험. 현재의 고민들. 실제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민과 맞닿을 수 있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