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스러운 소녀 시절

서독제 메모

골방/영화관2007. 11. 26. 03:43
un/ going home
- 아쉬움. 매체가 가져다 줄 수 있는 효과에 대해 감독이 조금만 더 인지하고 있었다면 좋았을 것이라고 생각함. 주인공인 혜진은 멋지고 예쁜 사람인데. 이야기가 잘 엮이지 않았다는 느낌이 들어서 그녀에게 몰입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리고 이야기를 볼 수 없게하는 화면의 느낌이 싫다. 촬영을 왜 잘해야 하는지는, 다큐멘터리라는 이 매체가 화면으로 보여주는 영화이기 때문이다. 그 질문에 대답하지 못한다면 결국 매체를 택한 이유가 없는 거니까. 카메라를 불편하게 여기는 등장인물들이 눈에 툭툭 거슬릴때마다 싫었다.
다큐멘터리를 우습게 보면 안 된다. 그리고 그것은 결국 나를 향한 질문임을 알고 있다.
혜진을 만나보고 싶었고 에리카의 영화를 다시 만들고 싶어졌다. 내년, 그녀를 만나기 전까지 녹취를 다시하고 구성안을 다시 써 봐야겠다.

자살변주
-매체에 대한 고민이 내가 요즘 하고 있는 것이므로, 아마도 그래서 좋았을 영화. 영화라는 매체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충분히 했다는 생각. 환상, 죄책감, 자살 직전의 느낌 같은 것을 머리의 느낌 언어로 잘 표현했다고 생각. 불편한 부분이 있었지만 4개중 베스트라 말하고 싶음.

이웃
-잔잔하고 뻔한 느낌. . 머리에 붙은 실밥, 약과 먹는 사이다, 그런 것들 때문일까. 아니면 용서라는 화두? 그냥 우리는 이렇게 살고 있어, 라는 느낌을 받기도 했는데  전반적인 내용이 익숙해서인지... 아마 밀양때문에 그런 느낌이 더 들었는지도 모르지만.
엔딩 크레딧이 너무나 느려서 신기했고, 엔딩크레딧 내내 달리던 고속도로에 죽어있던 고양이가  인상적. 초반에 핸드헬드로 준 '시선'의 느낌은 너무 인위적이어서 낯설었다.

김판수 당선, 그 후

-포커스가 계속 안 맞는다는 느낌이 들었던 건 왜일까-_- 이웃과 마찬가지로 내러티브, 캐릭터가 중심인데 그러기엔 인물이 좀 전형적이라는 느낌이다. '이야기'를 하기 위한 인물은 별로 매력적이지 않다. 웃기고 재미있었지만 교조적인 느낌이랄까. 자막 등의 감각이 매우 '고딕'해서 젊은 사람 같지 않았는데 감독이 너무 해맑은 얼굴의 젊은 남자라서 신기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