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스러운 소녀 시절

처음 워낭소리를 보았을 때 나는 그 영화가 불편했다. 재미가 있다, 없다로 말한다면 재미가 있었다. 감동적이라거나 그러지는 않았지만, 거기에 나오는 할머니가 좋았다. 그 할머니의 말이 재미있었고 할머니가 좋았지만, 그 할머니의 말이 영화 속에서 이용되고 있다는 느낌이 불편했다. 그런 느낌들이 이어져서 할머니와 소, 할아버지가 다 불쌍하게 느껴져서 싫었다. 뭐 그래도 괜찮다고 할 수 있었는데, 마지막 자막 때문에 좀 열이 받았다. 주인공이 셋인데 왜 헌사는 둘한테 하냐 이거지. 할머니는 뭐냐고.
근데 정말 많은 사람들이 이 영화를 좋아했고, 그래서 나는 내가 너무 삐뚤어진 것은 아닌지 고민했다. 다른 사람도 아니고, 나는 영화를 만들고 싶어하고, 만들고 있는 사람인데, 사람들이 좋아하는 영화에 대한 이해도가 이렇게 떨어져서야 되겠나 싶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사람들이 간절히 위로받고 싶어한다는 생각도 들었고, 또 한편으로는 영화를 보고 자기가 가진 죄책감들을 쓸어내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욕망이 싫었다.
뭐 마음에 안 드는 구석은 많았지만, 여러 흐름을 타고 이 영화는 승승장구했고, 지금은 200만을 바라보는 초대박영화가 되었다. 최근에는 이메가가 이 영화를 친히 관람하시면서, 각종 논란을 몰고오고 있기도 하고.

이 영화가 독립영화다 아니다라는 논쟁은 사실 무의미하다고 생각한다. 다큐멘터리냐 아니냐 라는 논란도 마찬가지다. 오히려 그런 논란은 독립영화나, 독립다큐멘터리, 다큐멘터리의 입지를 좁히게 될지도 모르니까. 그래서 독립영화라서 용서하거나, 독립영화라서 비판하는 것은 좀 이상하다. 나도 처음에 그런 잣대를 들이대며, (이 영화는 독립다큐멘터리가 아니며) 이런 영화가 독립영화라고 사람들이 기억하게 되면 어쩌나라는 말을 내뱉었지만, 사실 그래도 상관없는 거 아닌가 싶다. 그걸 시작으로 더 많은 영화들을 보고, 독립영화가 사람들과 만날 수 있는 창구가 더 많이 생기면 좋으니까. 정책적 투쟁으로 상영관을 얻는 것도 중요하고 필요한 일이지만, 영화를 만드는 사람이 영화로 그것을 할 수 있다면 좋은 거겠지. ('그런' 영화를 만들어야 한다는 얘기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이메가와 함께 영화를 본 그 퍼포먼스가 옳았다고 하는 것은 아니다. 고놈은 워낭소리가 가진 어떤 장점들말고, 자기가 필요한 것 - 열심히 일하면 경제불황을 이겨낼 수 있다 같은 - 만 취할 놈이니까, 그런 자리에 가서 구색을 맞춘 것에 대해서는 변명의 여지가 별로 없다고 생각한다. 독립영화를 위해서라면, 더 많은 독립영화 감독들을 조직해서 단체로 피켓팅을 하든 뭘하든 다른 방법을 고민했어야 하는 거 아닌가.


쫌 너무 변명같은 말을 늘어놓고 있는 제작자도 싫고 영화도 썩 좋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뻔한 얘기를 뭐하러 늘어놓으냐면,
독립영화 하는 사람들이라는 말도, 때론 무지 권력적이라는 것을 오늘 어떤 자리에서 느꼈기 때문에. 그런식으로 쓰일 말이라면 나는 독립영화만드는 사람이라고 말하고 싶지 않아져버렸기 때문에. 기억해두고 싶다. 독립영화를 만든다는 자부심은 있을 수 있지만 그걸로 다른 사람을 깔아뭉개지는 말자.

좋아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러쿵저러쿵 말하기가 더 어렵다,
는 걸 새삼 깨달았다.
좋은 건 그냥 좋은 거. 일지도.
이 영화를 두 번 봤는데 두 번째가 더 좋았다. (다행히도!)
처음에 부산에서 봤을 때는 아는 사람들의 얼굴 때문에 마음이 쓰였다. 취재를 다니면서 혹은 어쩌다 어떤 자리들에서 마주친 사람들이 영화 속에서 여전히 그렇게 살고 있는게 슬펐었다. 그리고 한 편으로는 그들의 이야기가 더 나오지 않은 게 서운하기도 했다.
두 번째에는 룸메와 함께, 인디스페이스에서 보았다. 늦을까봐 무려 택시를 타고 갔는데 예고와 트레일러 상영 등이 근 10분 가까이 계속 되어 다행히 놓치지 않고 볼 수 있었다. 영화관을 나와서, 나는 영화를 참 잘 만들고 싶다는 욕심이 났고, 룸메는 횡단보도 앞에 서 있다가 갑자기 눈이 빨개지더니 눈물을 흘렸다. 덕분에 우리는 촛불집회에 감동한 사람들처럼 울면서 을지로를 걸어가고 말았지만;;
비평의 지점에서 아쉬운 것이 없냐고 하면 그렇지는 않겠지만, 어떤 작품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는 걸 알기 때문에 나는 진심으로 이 영화가 좋은 영화라고 생각한다. 우리들의 마음은 일렁였고 그 마음을 조금 위로받기도 했다.

사람들이 많이 봤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한 단체 소식지에 소개글을 써야지 했는데 정말 쉽지 않았다. 다시 읽어보니 리플렛을 보고 쓴 거 같기도 하고 먼가 내 맘을 다 전달하진 못한 거 같아 아쉽긴하지만- 그래도 사람들이 이게 뭐야? 하고 궁금해서 보면 좋겠다 ㅎㅎㅎ

저 아래 배너도 달려 있으니 고고시잉-


추격자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주노
푸지에
미친 시간, 이마리오
어느 여름의 기록, 장루슈
청바지 돌려입기
필승 연영석
인크레더블 헐크
무용
출산기/도시에서 그녀가 피할 수 없는 것들/여고생이다/암사자들-여성영화제 단편
XXY
드림 걸즈
팝의 여전사
아슬아슬 마을 재건
천일의 스캔들
트랜스포머
엄마는 여자를 좋아해

[Flash] http://play.mgoon.com/Video/V1149208/



이런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고,
중얼거려보았다.

1번
정말 오랜만에-요즘 일기는 왜 만날 오랜만 타령이냐!-대학교에 갔다.
대학교라는 공간이 주는 이상한 느낌 같은게 있으면서도
더 이상하게 도시화되어 주는 더 이상한 느낌을 받았다. (뭔 소리냐-_-;;)
그래도 대학교의 느낌을 느끼고 싶어서
굳이 깅을 일찍 만나 학생식당에서 밥을 먹고 커피를 마셨다.
학생식당이 카페테리아 형식이라서 조금 실망했지만- 반찬마다 돈 받는 거 싫어...ㅠ.ㅠ
그래도 둘이 배부르게 먹을만큼 이것저것 고르고 먹었는데 겨우 4100원이다.
거기다 2층에 커피는, 아메리카노 900원 카페라떼 1500원이다.
역시 대학이 좋고나-를 외치며 우리가 간 곳은
인권운동사랑방의 찾아가는 상영회인 '반딧불'의 상영장.
오늘은 고대 시설관리 노동자들과 함께 '주문-우리는 더 강해질거야' 와 '우리는 룸메이드였다'를 보는 날이다.
롯데 호텔의 룸메이드 노동자들의 문제가 현재 고대분회 분들의 문제와도 많이 비슷해서인지
보시는 조합원 분들도 끄덕끄덕.
상영장의 음향이나 객석 위치가 안 좋아서 좀 속상했지만
그래도 영상 속 허부의 모습에 나도 모르게 눈물이 찔끔했다.

이어진 관객과의 대화 시간에는 영상을 만든 우리들보다 출연자인 금옥쌤이 너무나 멋지게 말을 잘 해주셔서(당연히도!!)
함께 보셨던 조합원 중 한 분은 금옥쌤에게 '사랑해요!'라는 마지막 고백을 날리시기도 했다.
그렇게 오밀조밀 모인 사람들과 함께 영상을 보니 이상한 기분이 들기도 했고
이렇게 훌륭하고 멋진 사람을 만나 영상까지 만들 수 있었음도 감사했다.
큰 화면으로 다시 보니까 전체적인 호흡이나 이런게 좀 불안한 부분이 보여 아쉽기도 했는데
이후에 더 촬영하고 해서 롯데 호텔 문제를 잘 알릴 수 있는 영상으로 만들었으면 좋겠다는 작은 바람도 생겼다.
우리는 더 강해져야해...이것은 정말 have to 다. 우리에게...

2번
<은하해방전선>을 보았다.
어딘가 최진성의 영화와도 비슷하다는 느낌이 들긴 하였으나
자의적이라는 느낌도 들었으나
결론적으로는 이 영화가 좋다.
리드미컬한 비꼼이 좋다.

무엇보다 너를 그립게, 너를 보고 싶어하게 내 맘을 몽글몽글하게 만들었으므로
멜로 영화로 합격이다. ㅎ

그러나 언론의 지나친 찬사는 좀 아닌 거 같다. 그렇게 놀라울 정도로 '새롭'다거나 '톡톡 튄'다거나 하지는 않는다. 아마  그들은 '아니, 저렇게 영화를 만들다니, 조낸 부럽다' 같은 생각을 가진 어른들이라 그런 가보다.
나는 아직 풋풋한 청춘 +_+

나는 발명킹왕짱이 될 거다.
크크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