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스러운 소녀 시절

서독제 메모

골방/영화관2007. 11. 26. 03:43
un/ going home
- 아쉬움. 매체가 가져다 줄 수 있는 효과에 대해 감독이 조금만 더 인지하고 있었다면 좋았을 것이라고 생각함. 주인공인 혜진은 멋지고 예쁜 사람인데. 이야기가 잘 엮이지 않았다는 느낌이 들어서 그녀에게 몰입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리고 이야기를 볼 수 없게하는 화면의 느낌이 싫다. 촬영을 왜 잘해야 하는지는, 다큐멘터리라는 이 매체가 화면으로 보여주는 영화이기 때문이다. 그 질문에 대답하지 못한다면 결국 매체를 택한 이유가 없는 거니까. 카메라를 불편하게 여기는 등장인물들이 눈에 툭툭 거슬릴때마다 싫었다.
다큐멘터리를 우습게 보면 안 된다. 그리고 그것은 결국 나를 향한 질문임을 알고 있다.
혜진을 만나보고 싶었고 에리카의 영화를 다시 만들고 싶어졌다. 내년, 그녀를 만나기 전까지 녹취를 다시하고 구성안을 다시 써 봐야겠다.

자살변주
-매체에 대한 고민이 내가 요즘 하고 있는 것이므로, 아마도 그래서 좋았을 영화. 영화라는 매체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충분히 했다는 생각. 환상, 죄책감, 자살 직전의 느낌 같은 것을 머리의 느낌 언어로 잘 표현했다고 생각. 불편한 부분이 있었지만 4개중 베스트라 말하고 싶음.

이웃
-잔잔하고 뻔한 느낌. . 머리에 붙은 실밥, 약과 먹는 사이다, 그런 것들 때문일까. 아니면 용서라는 화두? 그냥 우리는 이렇게 살고 있어, 라는 느낌을 받기도 했는데  전반적인 내용이 익숙해서인지... 아마 밀양때문에 그런 느낌이 더 들었는지도 모르지만.
엔딩 크레딧이 너무나 느려서 신기했고, 엔딩크레딧 내내 달리던 고속도로에 죽어있던 고양이가  인상적. 초반에 핸드헬드로 준 '시선'의 느낌은 너무 인위적이어서 낯설었다.

김판수 당선, 그 후

-포커스가 계속 안 맞는다는 느낌이 들었던 건 왜일까-_- 이웃과 마찬가지로 내러티브, 캐릭터가 중심인데 그러기엔 인물이 좀 전형적이라는 느낌이다. '이야기'를 하기 위한 인물은 별로 매력적이지 않다. 웃기고 재미있었지만 교조적인 느낌이랄까. 자막 등의 감각이 매우 '고딕'해서 젊은 사람 같지 않았는데 감독이 너무 해맑은 얼굴의 젊은 남자라서 신기했다. ㅎㅎ

얼마 전 색,계 色, 戒를 보았다.
주말 저녁 극장은 '무삭제'의 열기로 그득했다.
빈 자리 하나 없는 극장이었지만 때때로 어울리지 않는 웃음이나 지루한 하품 소리가 들리기도 했다.

누군가는 이 영화를 애국소녀와 매국노의 사랑이야기라고 하기도 했고
왜 여자가 늘 배신자가 되어야 하느냐는 불만어린 목소리도 있었지만
나에게 이 영화는 외로움, 외로운 사람들에 관한 영화였다.


보고 나서는 생각나는 것들이 많앗는데 시간이 지나니 다 잊혀진다.
여하튼 이안씨의 영화는 참 아련하다는 것. 그 속의 사람들은 다 슬프다는 게 그나마의 기억.
영화를 본 사람들과 수다를 떨고 싶은 영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