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스러운 소녀 시절

이 밤에 졸린데 잘 수가 없다.
할 일 모두 미루고 일찍 자야지 하며 뒹굴뒹굴 보고 싶은 사람들에게 전화질이나 하였건만!
잘 수가 없다.
왜냐하면 12시 넘어 라면을 처 먹었기 때문이다.
속이 막 더부룩하다.
라면을 손수 끓여주신 어머니는 이 글을 보면 좌절하겠지만 여하튼 상태 뷁.

아까 라면을 먹으면서 이런저런 생각들을 해 봤다.
나는 5월부터 대략 육고기를 단식하는 방법으로 채식지향주의적 식사를 하고 있다.
매년 시도했지만 늘 실패하고 말았던 채식지향은
5월에 한약을 먹으면서 자연스레 단절되었던 몇 가지 고기류와 술 덕분에 꽤나 오랜 기간 유지되고 있다.
마침 그 시기에 '프랑켄슈타인은 고기를 먹지 않았다'를 읽었고
채식과 여성주의에 대한 고민을 이리저리 굴려보면서
다른 사람들이 왜 채식을 하는 지를 물을 때 대답할 거리를 준비하곤 했다.
뭐 별로 물어보지 않았기 때문에, 혹은 내가 부끄러운 자리였기 때문에 진지하게 말해본 적은 별로 없었다만.
그 고민들은 내 본성(?)과 혹은 나의 소샬 포지션(?) 등과 여러 번 부딪히곤 했다.

채식지향을 하면서 사람들과 함께 식사하는 것이 때때로 불편했다.
몇몇 친구들은 일부러 나를 배려해서 고기가 없는 식단을 선택했는데
원래 밥 먹을 때 결정권 같은 거 가지는 걸 싫어하는 나는 그 과정이 때로 부담스러웠다.
은근 말도 안 되는 착한 여자 컴플렉스 같은 게 작동하여 '나 때문에' 어떤 선택이 영향을 받는 것이 미안하다는 압박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난 괜찮으니 아무데나 가자고 한 적도 많다. 물론 착한 동료들은 그런 나의 말에도 불구하고 고기가 없는 식당을 가곤 했지만.

또 하나는 이미 만들어진 음식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나는 음식을 만드는 것도 먹는 것도 좋아하는 사람이다.
내가 채식지향을 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자본주의적 식사에 대한 거부권 행사이다. 예를 들면 자본이 자기 입맛에 맞게 만들어 놓은 음식을 - 패스트푸드점의 햄버거 같은, 물론 이 사회에 그렇지 않은 음식이란 별로 없겠지만 - 먹지 않을 선택권을 내가 쥘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대체로 그런 음식을 거부하고 최대한 내가 음식을 생산하는 경우 매우 유효한 선택이다.
하지만, 예를 들어 김밥을 먹는다고 하면.
여럿이 같이 먹기 위해 천원짜리 김밥을 사왔을 경우 나는 종종 햄을 빼고 김밥을 먹는 이상한 '편식'의 행태를 취해야 한다. 이것은 자본주의적 식사를 거부하는 것도 아니요, 생산적 채식 지향의 태도도 아니다. 식당에서 밥을 먹을 때는 이런 상황에 많이 부딪히게 된다. 야채카레를 시켰는데 이미 카레 소스안에 고기가 들어 있는 경우나 국물요리에도 이미 고기가 들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마나 나의 선택은 늘 '편식'이었던 것이다.
이런 채식지향이 무슨 의미가 있을지 그런 식사를 할 때마다 갸우뚱 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그런 식사를 하지 않고 살 수 있다면 좋겠지만 불행히도 아직은. 급급.

그리고 조금 달라졌다.
예전에는 맛대맛 같은 거 보면서 료리 연구하고 저거 한 번 만들어 먹어보자 하면서 흥미로워했는데, 얼마 전에 그 비슷한 어떤 프로그램을 보다가는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된 것이다. 해산물과 생선 등으로 만드는 음식에 관한 리포트였는데 살아있는 생물들이 그저 '음식 재료'로서 배가 갈리고 산 채로 튀겨지는 행위들이 너무나 즐겁게 티비에 나오고 있었다. 예전에는 나도 그것을 그냥 음식의 일부로 보고 오호라, 했겠지만 그걸 보던 순간에는 정말 불편했다. 그렇다고 내가 그 음식이 된 거 같은 기분이 들거나 그런 건 아니지만 여하튼.
또 책에서 여성성을 가진 동물의 이중학대라는 부분을 보면서 달걀과 우유에 대한 생각도 달라졌다. 젖을 짜내고 알을 낳는 것이 노동의 일부가 된다는 것이 좀 끔찍해졌달까. 그래도 여전히 달걀은 잘 쳐 먹지만-_-
뭐 이런저런 고민들 끝에...

방금 라면을 먹으면서도 생각했다.
사실 라면을 먹은 건 배가 고파서라기보다는 정말 라면이 먹고 싶어서였는데
이건 매우 자본주의적 소비행태인 것이다. 소비를 위한 소비.(게다가 라면 국물은 다량의 동물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지난 번에 애인님과 나의 채식지향 식사에 대한 고민을 이야기하면서
나는 대량 생산되는 음식을 거부하는 차원에서 채식을 하고 싶다고 했는데
라면은 대량 생산의 대표님이시다.
거기다 그 간편함 때문에 더욱 더 음식에 대한 고민을 할 수 없게 만든다. 음식이 만들어지는 과정 따위는 없으니까.
결국 라면을 끊어야 하는 것인가.


정말 쓸데없이 긴 글이다.
다 배가 더부룩한 탓이다.

오밀조밀한 고민들이 더 필요하다. 먹는 거 가지고 장난치는 자본주의 뷁.

S#1
오랜만에 사진을 찍었다.
오래된 카메라에 필름을 넣고 두리번두리번-
어쩌다 사진 같은 걸 좋아하게 된 걸까.
이유는 모르겠지만 사진 찍는 건 참 좋다.
싹둑 잘라내버리고 싶은 세상 속에 살아서 그런가?

우연찮게 함께 사진을 배웠던 오래된 친구랑
그 시절 자주 가던 술집에 가서 수다를 떨고
크크큭- 그게 벌써 5년도 더 지난 일이야, 라며 세월 빠름을 한탄했다.
둘 다 그 때 미처 다 쓰지 못한 인화지를 가지고 있음을 알고 또 킥킥.
디벨로퍼며 픽스며 이제 순서도 시간도 잘 기억나지 않는다.
그냥 그 시절 지나던 길목 정도가 아련히 기억날 뿐.

S#2
한 친구가 자기가 쓴 소설을 보여주었다.
+_+
재미있다.
아니, 사실은 좀 질투가 났다.
재주 많은 사람들이 부럽다.
아니, 그 열정이, 그것에 '재미'를 느끼는 그 순간이 더 부러웠다.
글을 잘 쓰려고 아둥바둥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하는 자체가 주는 매력,
그것이 얼마나 큰 것이었는지를 나는 또 잊고 살았다.
그 녀석은 아직 그걸 알고있다.
부러운 자식.
나는 데면데면하게, 또는 냉정해보이게 수정할 부분들에 대해 이야기했지만
사실 수정 같은 건 별로 필요 없어 보였다.
간만에 받은 자극.

S#3
내가 참 좋아하는 후배들이 같이 놀러갈 사람에 날 당첨시켰다고 전화를 했다.
어찌나 반가운지 ㅎ
좋아하는 사람들을 잘 만나지 못하는 내 삶을 생각할 때마다
어떻게 하면 행복한 작업 환경을 만들 수 있을까를 고민해 본다.
반이다 친구들과 함께 할 고민이지만
-원래 이 바닥이 그래
같은 결론은 정말 싫다. 그런 말 하는 사람도 싫고.
우리는 안 그랬으면 좋겠다. 그리고 실제 안 그렇게 살 수 있다면 정말 좋겠다.
여유, 라는 것은 경제적인 것으로부터 나오기도 하지만 안 그런 경우도 많으니까, 뭐.
희망을 갖고 살련다. 케헴

S#4
반이다 집들이랍시고 저녁을 만들면서 간만에 료리를 했다.
깜이 떨어져서 튀김옷을 제대로 못 입히는 실수를 하기도 햇지만
훌륭한 손님들은 그저 맛나게 드시었다.
난 요리하는 게 좋고 재미나다.
그러고보니 난 좋아하는 일이 많네?
집을 깨끗이 하고 종종 해 먹어야지 하고 생각은 하지만 실천에 옮기기는 쉽지않다.

그래서 동생님이 십만원을 걸고 제의한 청소를 수락하기로 했다. ㅎㅎ

S#5
엄마가 선물 보따리를 안고 귀국했다.
그녀에게는 여러모로 특별한 한 해.
멋진 마무리가 되었길.

애인님은 술을 조낸 드시고 애교를 만땅 부리셨다.
사랑을 노래하는 그가 귀엽긴 하지만
이럴 때마다 왜 나랑은 술을 안 먹는지 의문이 생긴다.
꼭 이런 애교를 나는 왜 전화로만 들어야 하는가...
곰곰이 생각해볼 문제.

S#6
사실 씬 넘버는 아무 의미가 없지만 지난 주 가장 기억에 남는 씬은
room & roomer 에서의 수다였다.
바르르르르- 떨리는 눈꺼풀과 함께 ㅎ
여유로운 시간이 간절한가 보다. 요즘의 나는.

그러고보니 조금 전 질질 울면서 본 무한도전도 참 좋았고나.
도전하는 사람들은 아름다울 수 밖에 없는 것인가.
춤을 추고 싶어졌다. 원투쓰리 차차차-

그러고보니 탱고가 듣고 싶어서 그그제에는 오랜만에 고가의 수입앨범도 질르셨다.
하지만 후회없는 선택이었다는 거! 음악이 진짜 좋았다는 거!




내가 산 앨범에 있는 건 아니지만, 뮤직비디오가 재밌다 +_+
씬 7번은 낼 집회가서 만들테다.

일요일 2시에 이주노동자 단속에 대한 항의 집회가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에서 있답니닷!
관심 있으신 분들은 컴온컴온

매년말마다 다이어리 고르기에 열과 성의를 다하는 나로서는
마음에 쏘-옥 드는 다이어리를 만나는 건 정말 큰큰큰 기쁨이다!
다행히 작년엔 썩 멋진 녀석과 함께 해서
꼬박 1년을 하나의 다이어리를 쓸 수 있었다.(처음이다..ㅠ.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 녀석이 작년에 나와 함께한  다이어리.
손바닥만한데다가
다른 번잡스러운 것 없이 위클리만 있는 것도 좋았고,
위클리의 칸이 널찍한 것도 좋았고,
널찍한 면으로 넘기게 되어있는 것도 좋았다.

표지의 그림도 한 몫!

그래서 이걸 한 해 더 쓸까 하다가,
새로운 걸 골라야지 하고 열심히 골라봤는데 썩 맘에 드는 건 없었다.
저런 스타일이라면 양지 다이어리라도 살 의향이 있었는데... 위클리가 세로로 된 건 없더라.
교보, 텐바이텐 등을 서너번 돌아다닌 후
겨우 새로 산 녀석은 요것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작년 녀석에 비해 크기는 두 배 정도,
그치만 위클리가 큰 게 맘에 들었다.
또 이것저것 끼워 놓을 수 있는 비닐 커버가 있는 것도,
공책 겸해서 쓰려고 일부러 큰 걸 샀는데 무겁지는 않았다.
뭐, 이것도 나쁘지는 않았지만 작고 세로로 넘기던 것에 익숙해져서 좀 아쉬웠던 찰나-

오늘 경기문화재단에서 다이어리와 노트, 캘린더 등을 보내왔는데!
검은 가죽커버의 작은 다이어리는 내가 찾던 바로 그것! 이었다.
날짜도 박혀있고, 작고, 세로로 위클리를 쓸 수 있다..ㅠ.ㅠ
마음에 드는 녀석을 발견해서 좋기도 하지만, 새로 산 녀석은 어쩔지 고민이 된다.

아으- 다이어리 고르기 너무 어려워!











사용자 삽입 이미지